1. 스카일러
-
생일: 8월 20일
-
혈액형: A형
-
이름: 스카일러. 스카이 내지는 스칼라. 즉 하늘 내지는 학자라는 뜻.
-
호불호: 꿀 탄 우유, 초콜릿에 담근 오렌지 | 가리는 음식 없음!
-
행적 요약:
5-10세, 소학교 재학
10-13세, 부모님의 일을 도움
13-18세, 여행 및 결속
18-22세, 고등 아카데미 재학
22-40세, 어느 지리학 연구자의 제자로 근무
40-현재, 지리학 연구자로 근무
2. 오코너
칼리움의 누구나 예상하기 쉽게 사막 지역에서 나고 자랐다. 딱히 부유한 마을도 빈곤한 마을도 아니었다. 그냥 적당히 벌어 먹고 사는 가정. 파디샤를 따르는 평범한 가정 중 하나로, 그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다. 애당초 이기기가 쉬운 것도 아니고.
칼리움은 아름다운 자연이 주 관광자원이라 하나, 그런 사막에는 보물이 많이 묻혀 있기 마련이다. 이에 관광객들이 유물을 해치지 않도록, 그리고 유물의 가치가 미래로 이어지도록, 스카일러의 부모님은 유적의 가치가 바래지 않게 관리하는 역할을 했다. 인류와 가까운 신인 에흐게니아의 사랑을 받아 살아가는 만큼, 인류의 흔적을 보존하는 것에 자부심이 컸다. 부모님은 항상 유적을 잘 보존해서 후대로 물려주어야 한다 말씀하셨다.
스카일러는 그런 부모님을 보며 자랐다. 유물을 보존하는 원리를 정확히 모른대도 부모님이 유물들을 소중히 여긴다는 점은 어린 아이도 한 눈에 알 수 있었다. 인류의 발자취, 흔적. 그 모습을 지켜보며 일을 도왔다. 이런 삶은 스카일러가 여행을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다.
3. 과거 행적
3-1. 여행
인류가 후대에게 물려주는 것이 유물이라면 넓게 보면 문명이잖아요? 그럼 우리 옆에 있는 것들이 우리가 사랑할 전부는 아닌 거네요. 부모님, 저는 이 세계의 여기저기를 돌아다니고 싶어요! 이게 더 에흐게니아의 가치에 어울리지 않을까요? 더 많은 것을 보고 돌아오겠습니다!
……같은 말로 13세 즈음에 홀로 리프난시르 대륙 여행을 시작했다. 배낭 하나에 짐은 최소화. 부모님께 짐이 되지 않기 위해 돈도 많이 챙기지는 않았다. 다만 평범한 대륙 지도 한 장을 가방에 소중히 넣었을 뿐이다.
아무것도 나를 묶을 수는 없다! 여행길은 무섭고도 짜릿했다. 사투리라던가 의복이라던가 각 지역마다 특색이 짙다는 것을 피부로 느꼈다. 괜히 헤몬의 북부로 여행하려다가 대차게 다치기도 했고, 알프의 지하자원을 지키는 사람에게 말 한 번 걸었다가 의심의 눈초리를 받은 적도 있었다. 가장 오래 못 씻은 건 몇 개월이더라? 여름이면 열리는 항구를 구경한 적도 있다. 여행 중 까마귀 떼와 친구가 된 적도 있었다. 여행 중에 잔재주가 참 많이 늘었다. 찢어진 옷을 꿰맨다던가, 직감으로 독초 약초를 구별한다던가, 제 몸 지키기 위한 지팡이술도 이쯤에 연습했다고.
3-2. 결속
약 5년 간의 여행 끝에 자신도 슬슬 신과 결속을 맺어야 할 나이가 되었음을 깨달았다. 하기야, 대륙의 곳곳을 다 돌아다녔으나 아직까지 신의 영역만큼은 가보지 못했는걸. 그는 세계 중앙의 산 속으로 자연스레 발걸음을 옮겼다. 내가 믿는 에흐게니아와 하나가 되기 위해서…….
그러니까, 이건 순 변덕이었다.
어이, 아르콥스! 보고 계십니까!
저와 결속을 맺어주십시오.
저는 바람처럼 자유로운 당신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산을 오르는 길에 하늘을 향해 손을 뻗고 외쳤다. 여행이라는 이름의 인류에 대한 탐구는 참 즐거웠다. 그는 여행 끝에 인간의 부속물을 더욱 깊게 사랑하게 되었으나, 더불어 여행길에 느낀 바람과 자유의 상쾌함을 잊을 수 없었다. 물론 아르콥스가 정말 자신의 말을 들어줄 거라고 기대한 건 아니었다. 이건 그저 한 번 외쳐본 것에 가까웠으니까.
3-3. 학문
어째저째 결속까지 끝내고 나니 세상의 거의 모든 땅을 제 발로 밟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문득 자신이 본 세계를 조금 더 선명하게 보고 싶은 욕망에 뒤늦게나마 고등교육 및 학문의 길에 눈독을 들인다. 그는 그렇게 학자들의 도시인 라르케아를 향한다. 라르케아가 연구 분야로 최고로 인정받는 도시이기도 하나, 자신이 배우고 싶은 학문을 가르치는 곳은 라르케아밖에 없었다. 그는 문화지리학을 공부하기를 원했다. 그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믿는 신과 마법, 그리고 인간 문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를 바랐다.
일부는 부모님의 도움을 받고 또 일부는 자기 명의로 대출을 받아 유학 경비를 충당하며, 뒤늦게 고등교육을 받았다. 집값이며 생활비며 드는 돈은 많았다만, 자기가 배우고 싶어서 선택한 길이니 후회는 없었다. 이때 빚이 얼마나 되었더라……. 어릴 땐 이걸 다 갚을 수 있긴 한가 깜깜했는데.
아카데미 생활은 즐거웠다. 대인관계 스킬이 좋기도 하거니와, 학우들도 전부 스카일러의 여행담을 흥미롭게 들어주었으니까. 마법, 문화, 지리 같은 수업을 수강하여 코스를 마친 후, 아카데미에서 선생님께 소개를 받아 어느 마탑에서 연구자의 조수 겸 제자로 일하게 된다.
3-4. 정체
그 이후로 한동안 일만 했다. 빚은 갚아야 했으니까.
어느 연구원의 제자로 일할 적, 직장 동료들과 함께 밥을 먹을 기회가 잦았다. 사소한 대화에서 스카일러는 ‘언젠가 다시 여행을 하고 싶을지도?’라고 넌지시 던졌다. 그러나 어떤 동료가 스카일러를 걱정하는 의미에서 답하길, ‘그렇게 여행하고 다니면 빚은 다 언제 갚고, 노후 대비는 또 언제 하려고? 연구원만큼 좋은 직업도 찾기 힘들걸? 어차피 연구하다 보면 여기저기 다니잖아! 돌아다니면서 돈도 버는 건데, 관두지 마! 혼자 하는 여행이 안정적인 직장보다 좋아?’라고. 이 질문에 스카일러는 답하지 못했다.
한편, 이쯤 되어서 스카일러가 살 날이 얼마인지 다시 짚어보자.
그는 에흐게니아의 사랑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700년 이상을 살 뿐만 아니라, 그 편차도 100년으로 매우 크다는 소리다. 100년은 인생설계에 꽤나 큰 변수다. 따라서 여행이 아름다운 추억인 것은 맞으나, 스카일러는 이제 사회에서 온전히 벗어날 수 없는 사람이며 돈을 벌 필요가 있었다.
물론 여전히 여행을 좋아하는가 확인하고 싶었기에, 짧게 휴가를 내고 여행을 갔다 온 적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어릴 때 구경했거나 일 때문에 다녀온 곳이었다. 세상의 어떤 곳을 밟아도 더 이상 어릴 적의 전율을 느끼지 못했다.
연차가 쌓여 독자적인 연구원 지위를 갖게 되었다. 그건 스카일러에게 제법 잘 맞는 일이었다. 장수할 사람이다 보니 실력이 굉장히 빠르게 쌓이고 경험까지 깔려 있으니, 연구 실적이 정말 좋거든. 일하다 보니 자연스레 대출금을 다 갚았다. 물론 학문의 시작은 여행이었지만 목적은 잃은지 오래였다.
그래, 그렇게 수백년을 탑에서…….
3-5. 이변
지리학의 한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이변에 대한 이야기를 듣지 못했을 리가 없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북부가 문제라며. 이제 북부뿐만 아니라 모든 지역에 마물이 출몰한다니, 이게 무슨 일이야? 아, 머리 아파! 이변의 원인에 대해 알아내느라 연구자들이 전부 쉴 틈 없이 바빠졌다. 신의 답이 없는 현재로서 이유를 알 방도는 마땅히 없지만, 포기할 수는 없으니…….
연구가 진행될수록 사람들의 시선은 사도인 스카일러를 향했다. 이 사건에 대해 그만큼 적격인 사람이 없다고. 학자이자 사도로서 나서달라고요? 대가만 충분하다면 오히려 영광이죠.
어차피 그런 거 연구하는 게 제 일이니까요.
4. 그 외
-
어쨌든 현재 직업은 연구원 겸 학자. 이 나이 먹고도 직업 하나 없으면 그게 더 신기하지 않나?
-
나침반인 두루마리는 통에 넣어 허리춤에 차고 다닌다.
-
거의 모든 지역의 문화를 꿰고 있다.
-
연상연하 불문 영특한 사람을 좋아한다. 조수 삼고 싶다고.
-
가끔 부모님의 일을 돕는다. 도움은 안 되는 모양이지만.
-
여행 가고 싶다고 하면 좋은 정보를 많이 알려준다. 자신의 과거가 생각나서.
그리고……
바람은 흘러가야 하고, 사람은 성장해야 한다. 언제까지고 과거의 추억만 붙들고 살아갈 수는 없다. 동심이 언제까지고 자신의 것이라는 미련은 버려야 한다.